식민시대의 정치적.사회구조
식민시대의 정치적.사회구조
정치적, 사회적 구조
2004년 4월 6일 - 14:53:00
콜럼버스가 아메리카에 도착한 지 불과 수십 년 후, 스페인 정부는 이미 서인도제도에 매우 조직적인 계층 구조를 갖고 있었다.
아메리카는 국가 영토의 일부로 간주되었으며, 왕은 자신의 권위를 총독(virrey, 부왕)이라는 직함을 가진 스페인 귀족에게 직접 위임했다. 16세기에는 두 개의 부왕령( virreinatos)이 세워졌다. 1535년 멕시코 시티를 수도로 한 뉴스페인 Nueva España 부왕령은 고대 멕시코(뉴멕시코, 텍사스, 캘리포니아에서 현재의 과테말라까지) 전체 영토를 포함했고, 누에바 부왕국도 있었다. 카스티야는 1543년에 설립된 누에바 카스티야 Nueva Castilla 부왕령의 수도는 리마였으며 잉카 제국(현재의 에콰도르, 페루, 볼리비아)을 대체했다. 정치적 위계가 덜해지면서 과테말라(현재 파나마까지), 쿠바(히스파니올라와 푸에르토리코 포함), 베네수엘라, 칠레 등 대장이 통치하는 군사화된 영토가 더 많아졌다. 18세기에는 보고타에 수도를 둔 라 누에바 그라나다(1739)와 라 플라타에 수도를 둔 부에노스아이레스(1776)라는 두 개의 부왕령이 탄생했다.
Pocas décadas después de la llegada de Colón, el gobierno español ya tenía una jerarquía muy organizada en Las Indias que se consideraban parte del territorio nacional. El rey delegaba directamente su autoridad a un noble español con el título de virrey. Durante el siglo XVI se establecieron dos virreinatos: el de Nueva España, creado en 1535 con capital en la ciudad de México, incluía todo el territorio del antiguo México (desde Nuevo México, Texas, California hasta lo que hoy es Guatemala) y el de Nueva Castilla, establecido en 1543, cuya capital era Lima, que reemplazó al Imperio Incaico (hoy Ecuador, Perú y Bolivia). Con menor jerarquía política, había territorios más militarizados, gobernados por capitanes: las capitanías de Guatemala (hasta lo que hoy es Panamá), de Cuba (que incluía La Española y Puerto Rico), de Venezuela y de Chile. En el siglo XVIII se crearon otros dos virreinatos: La Nueva Granada, con capital en Bogotá (1739), y Buenos Aires, con capital en La Plata (1776).
아메리카에는 총독 외에도 아우디엔시아(Audiencia)라는 사법기관이 있었는데, 이 기관은 8명 가량의 판사 oidores 로 구성되어 정치권력을 통솔했다. 또한 왕의 대표자들은 총독을 자주 방문하여 왕위에 대한 충성심을 감독했다. 이 복잡한 정치 기구는 부분적으로 아메리카 영토를 통제하려는 스페인 왕실의 끊임없는 관심에 대응했다. 그러나 이는 한편으로는 원주민들과 아프리카인들의 이익 추구와 강제 노동을 장려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원주민의 기독교 권리를 보호하고 학대를 방지하기 위한 법률을 제정한 스페인 정부의 내부 논쟁을 반영하기도 했다. 권위는 모순적이고 분산되어 있었다. 식민지에서는 “법은 준수되지만 이행되지는 않는다”는 말이 있었다. 즉, 왕의 명령은 인정되었지만 그의 법은 실제로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종교적, 정치적 이유로 노예 무역은 모든 스페인 영토에서 금지되었다. 노예 무역업자는 영국인, 프랑스인, 포르투갈인, 네덜란드인이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아프리카 노예를 사고 파는 것이 식민지 경제의 근본적인 부분이었다.
Además de los virreyes, existía en América una institución judicial llamada la Audiencia, constituida por unos ocho oidores que controlaban a las autoridades políticas. Los virreyes, además, eran visitados con frecuencia por representantes del rey para supervisar su fidelidad a la Corona. Este complicado aparato político respondía, en parte, a la preocupación constante de la Corona española por controlar sus territorios en América. Pero también reflejaba los debates internos del gobierno español, que por un lado fomentaba el afán de lucro y el trabajo forzado de indígenas y de africanos, pero por otro lado expedía leyes para proteger los derechos cristianos de los indígenas y prevenir los abusos. La autoridad era contradictoria y difusa. Un dicho común en las colonias era: “la ley se acata pero no se cumple”, es decir, se reconocía el mandato del rey, pero sus leyes tenían poco impacto en la práctica. Por ejemplo, por razones religiosas y políticas, en todos los territorios españoles estaba prohibido el tráfico de esclavos –los traficantes de esclavos eran ingleses, franceses, portugueses y holandeses–, pero en realidad la compra y venta de esclavos africanos fue una parte fundamental de la economía colonial.
이베리아 식민지의 사회 피라미드는 상당히 고정되어 있었으며 부, 노동, 인종의 불평등한 분배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가장 큰 정치적, 경제적 힘을 가진 피라미드의 꼭대기에는 유럽에서 건너온 스페인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과 함께 정치적 영향력은 적었지만 크리올로(criollos)도 있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지주였으며 교육을 완전히 받을 수 있었던 "순수한 스페인 혈통"의 스미국인이었다. 중간 계층에는 일반적으로 장인이나 소규모 지주인 메스티조가 있었는데, 이들은 원주민과 스페인인의 혼혈들이었다. 감소하는 규모에는 물라또(흑인과 스페인인), 삼보(흑인과 원주민) 등 수많은 다른 "카스트" 또는 인종 혼합이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피라미드의 바닥에는 광산과 농업에서 가장 힘든 일을 하게 될 원주민과 아프리카 노예들이 있었다.
La pirámide social de las colonias ibéricas era bastante fija, y estaba basada en una clara distribución desigual de la riqueza, el trabajo y la raza. En la cima de la pirámide, con el mayor poder político y económico, estaban los españoles venidos de Europa. Junto a ellos, pero con menor influencia política, estaban los criollos: americanos de "pura sangre" española que generalmente eran latifundistas y tenían pleno acceso a la educación. En el estrato medio, generalmente artesanos o pequeños propietarios de tierras, estaban los mestizos: estos eran una mezcla de indígena y español. En escala descendiente había un gran número de otras "castas" o mezclas raciales: mulatos (negro y español), zambos (negro e indígena), etc. Por fin, en la base de la pirámide y destinados a los trabajos más duros en las minas y la agricultura, estaban los indígenas y los esclavos africanos.
이러한 정치적, 사회적 구조는 도시개발에서도 표현되었다. 도시는 주간 시장이 열리는 중앙 광장을 중심으로 조직되었으며, 정부 청사와 주요 교회 또는 대성당이 위치했다. 광장 근처에는 권위자, 부유한 스페인 또는 크리올 가문 등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들이 살았으며 수녀원과 대학이 있었다. 주변에는 메스티조, 혼혈아, 원주민 등 가장 낮은 범주의 시민이 살았다. 따라서 도시는 스페인 혈통의 '순수함'을 바탕으로 한 식민지의 계층화를 반영했으며 사회적 규모를 높일 가능성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이 구조는 또한 시장, 관객, 종교 축제를 위한 중앙 광장의 다양한 계급과 그룹 간의 지속적인 접촉을 표현하며, 이는 다양한 카스트 간의 성적 접촉 외에도 오늘날 라틴아메리카의 특징인 문화적, 인종적 혼합주의를 창출했다.
Estas estructuras políticas y sociales también se expresaban en el desarrollo urbanístico. Las ciudades se organizaban alrededor de una plaza mayor central, donde se hacía el mercado semanal, y donde se encontraba el palacio de gobierno y la iglesia principal o catedral. Cerca de la plaza vivían las personalidades más influyentes –autoridades, familias adineradas de españoles o de criollos–, y estaban los conventos y las universidades. En la periferia vivían los ciudadanos de menor categoría: mestizos, mulatos, indígenas. Así, las ciudades reflejaban la estratificación de la colonia, basada en la “pureza” de sangre española, y con muy pocas posibilidades para ascender en la escala social. Pero esta estructura expresa también el continuo contacto entre clases y grupos diferentes en la plaza mayor, para el mercado, las Audiencias, y las festividades religiosas que, además del contacto sexual entre las distintas castas, creó el sincretismo cultural y racial que hoy caracteriza a América Latina.
2008-02-06 13:03:55